수학 용어 영어로 120개 모음, 뜻 풀이 포함(2)

안녕하세요 여러분, 워드빗입니다 😊

수학 문제를 풀다 보면 영어로 된 용어 때문에 헷갈릴 때 많지 않으신가요?
오늘은 수학 개념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 주요 수학 용어들의 영어, 뜻 풀이를 간단하게 정리해봤어요.
낯설지만 자주 등장하는 단어들을 쉽고 간결하게 풀어드리겠습니다!

✔️ 수학 용어 영어 풀이

1. absolutely irreducible [ˈæbsəluːtli ˌɪrɪˈdjuːsəbl] : 절대기약인
✅ 의미 : 어떤 체의 확대 위에서도 더 이상 인수분해되지 않는 다항식 또는 대수적 구조. 대수기하학 및 체이론에서 핵심 개념.

2. absolutely summable [ˈæbsəluːtli ˈsʌməbl] : 절대가합인, 절대값을 더할 수 있는
✅ 의미 : 급수의 각 항의 절댓값의 합이 유한한 경우. 수렴성이 뛰어나며, 함수 공간 ℓ1ℓ1의 정의에 사용됨.

3. absorbing [əbˈzɔːrbɪŋ] : 흡수
✅ 의미 : 한 번 도달하면 더 이상 빠져나오지 않는 성질이나 상태. 마르코프 과정, 동역학계에서 흡수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됨.

4. absorbing barrier [əbˈzɔːrbɪŋ ˈbæriər] : 흡수벽
✅ 의미 : 경계에 도달한 입자나 확률 경로가 되돌아오지 않고 종료되는 경계. 확률론, 금융공학 등에서 활용됨.

5. absorbing boundary condition [əbˈzɔːrbɪŋ ˈbaʊndəri kənˈdɪʃən] : 흡수경계조건
✅ 의미 : 경계에서 반사가 일어나지 않고 신호나 파동이 흡수되어 소멸되는 조건. 파동 방정식이나 전산물리에서 중요함.

6. absorbing Markov chain [əbˈzɔːrbɪŋ ˈmɑːrkɒf tʃeɪn] : 흡수 마르코프 연쇄
✅ 의미 : 어떤 상태에 도달하면 그 이후로 상태 변화가 없는 마르코프 체인. 시스템 종료나 탈락 상태를 모델링할 때 사용됨.

7. absorbing point [əbˈzɔːrbɪŋ pɔɪnt] : 흡수점
✅ 의미 : 동역학적 시스템에서 한 번 도달하면 변화가 없는 상태. 고정점 또는 종료 상태로 간주됨.

8. absorbing set [əbˈzɔːrbɪŋ sɛt] : 흡수집합
✅ 의미 : 연산이나 작용을 반복하면 결국 이 집합 안으로 수렴하게 되는 집합. 동역학계나 함수공간 이론에서 자주 사용됨.

9. absorbing state [əbˈzɔːrbɪŋ steɪt] : 흡수상태
✅ 의미 : 마르코프 연쇄에서 일단 도달하면 그 이후로는 절대 빠져나오지 않는 상태. 종료 상태로 해석됨.

10. absorption [əbˈzɔːrpʃən] : 흡수법칙
✅ 의미 : 논리 또는 집합 연산에서 A∧(A∨B)=AA∧(A∨B)=A와 같은 간단화 규칙. 대수학, 불 대수 등에서 자주 사용됨.

11. absorption identity [əbˈzɔːrpʃən aɪˈdɛntɪti] : 흡수등식
✅ 의미 : 흡수법칙을 나타내는 수학적 항등식. 연산의 단순화와 증명에 활용됨.

12. absorption law [əbˈzɔːrpʃən lɔː] : 흡수법칙
✅ 의미 : absorption identity와 같은 개념으로, 집합론, 논리학, 대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산을 단순화하는 역할.

13. absorption probability [əbˈzɔːrpʃən ˌprɒbəˈbɪləti] : 흡수확률
✅ 의미 : 마르코프 연쇄 등에서 시작 상태에 따라 특정 흡수상태에 도달할 확률을 의미함.

14. absorptive law [əbˈzɔːrptɪv lɔː] : 흡수법칙
✅ 의미 : absorption law의 다른 표현. 동일한 개념이지만 특히 논리학에서 이 용어로 자주 나타남.

15. abstract algebra [ˈæbstrækt ˈælʤɪbrə] : 추상대수학
✅ 의미 : 수, 행렬 등의 구체적 예가 아닌, 군, 환, 체 같은 구조의 일반 성질을 연구하는 대수학의 한 분야.

16. abstract boundary value problem [ˈæbstrækt ˈbaʊndəri ˈvælju ˈprɒbləm] : 추상경계값 문제
✅ 의미 : 편미분방정식의 해를 함수공간 및 연산자 개념으로 일반화하여 다루는 문제. 해석학 및 수치해석에서 사용됨.

17. abstract Dirichlet problem [ˈæbstrækt ˈdɪrɪʃleɪ ˈprɒbləm] : 추상 디리클레 문제
✅ 의미 : 고전적인 디리클레 경계조건 문제를 함수공간의 추상적 설정으로 확장한 형태.

18. abstract Fourier series [ˈæbstrækt ˈfʊrieɪ ˈsɪəriːz] : 추상 푸리에 급수
✅ 의미 : 푸리에 급수를 힐베르트 공간과 같은 추상적인 함수공간에서 일반화한 표현. 직교기저 기반으로 구성됨.

19. abstract heat equation [ˈæbstrækt hiːt ɪˈkweɪʒən] : 추상열방정식
✅ 의미 : 열의 확산을 나타내는 열 방정식을 연산자나 함수공간 기반으로 일반화한 식.

20. abstract patch [ˈæbstrækt pætʃ] : 추상조각
✅ 의미 : 위상다양체를 덮는 지역적인 열린 집합 중 하나. 다양체나 스킴 이론에서 구성 단위로 사용됨.

21. abstract Schrödinger equation [ˈæbstrækt ˈʃrɜːdɪŋər ɪˈkweɪʒən] : 추상 슈뢰딩거 방정식
✅ 의미 : 양자역학의 슈뢰딩거 방정식을 연산자 이론 또는 힐베르트 공간 위에서 일반화한 형태.

22. abstract simplicial complex [ˈæbstrækt sɪmˈplɪʃəl ˈkɒmpleks] : 추상적 단체의 복합체
✅ 의미 : 점, 선, 삼각형 등 단순한 구조를 조합하여 구성된 위상공간의 추상적 모델. 조합위상수학에서 기초 개념.

23. abstract surface [ˈæbstrækt ˈsɜːfɪs] : 추상곡면
✅ 의미 : 실제 공간에 놓이지 않은, 위상 또는 기하학적으로 정의된 곡면. 미분기하학에서 다룸.

24. abstract torus [ˈæbstrækt ˈtɔːrəs] : 추상적 원환면
✅ 의미 : 위상적 성질만으로 정의된 S1×S1S1×S1 구조. 복소기하학이나 군이론에서도 중요한 대상.

25. abstract wave equation [ˈæbstrækt weɪv ɪˈkweɪʒən] : 추상파동방정식
✅ 의미 : 파동방정식을 함수공간이나 연산자 틀에서 일반화한 형태로, 진동 현상의 수학적 모델링에 사용됨.

26. abstract Wiener measure [ˈæbstrækt ˈwiːnər ˈmeʒər] : 추상 위너 측도
✅ 의미 : 브라운 운동의 확률분포를 무한차원 공간에서 정의한 확률 측도. 확률해석과 함수해석의 연결 지점.

27. abstract Wiener space [ˈæbstrækt ˈwiːnər speɪs] : 추상 위너 공간
✅ 의미 : 위너 측도를 정의하기 위한 힐베르트 공간 구조. 확률론과 분석학의 고급 주제에서 사용됨.

28. absurdity [əbˈsɜːrdɪti] : 불합리, 모순
✅ 의미 : 논리적으로 모순되는 명제나 결론. 귀류법(모순을 통해 반증하는 논리 방식)에 자주 사용됨.

29. abundant number [əˈbʌndənt ˈnʌmbər] : 과잉수, 초과수
✅ 의미 : 자기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이 자기 자신보다 큰 자연수. 예: 12의 약수 합은 16으로, 12는 과잉수.

30. accelerated power method [əkˈseləreɪtɪd ˈpaʊər ˈmɛθəd] : 가속된 거듭제곱방법
✅ 의미 : 행렬의 주된 고유값을 빠르게 근사하는 수치해석 기법. 고전적 거듭제곱 방법보다 수렴 속도가 빠름.

31. acceleration [əkˌseləˈreɪʃən] : 가속도
✅ 의미 : 단위 시간당 속도의 변화량. 물리학뿐 아니라 미분 방정식이나 운동 모델링에서도 핵심적인 개념.

32. acceleration vector [əkˌseləˈreɪʃən ˈvɛktər] : 가속도벡터
✅ 의미 : 물체의 가속도를 크기와 방향으로 나타내는 벡터. 2차 또는 3차원 운동에서 위치 변화의 이계 도함수로 표현됨.

33. acceptable quality level (AQL) [əkˈseptəbl ˈkwɒləti ˈlɛvəl] : 합격품질수준
✅ 의미 : 로트(LOT) 단위로 검사 시, 합격으로 간주되는 최대 허용 불량률. 품질관리와 통계적 샘플링 검사에서 사용됨.

34. acceptance inspection [əkˈseptəns ɪnˈspɛkʃən] : 합격검사
✅ 의미 : 제품 또는 공정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검사 절차. 품질보증 및 통계적 검사 계획에서 활용됨.

35. acceptance line [əkˈseptəns laɪn] : 합격선
✅ 의미 : 통계적 검사에서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선. 그래프나 샘플링 플랜에서 시각적으로 사용됨.

36. acceptance number [əkˈseptəns ˈnʌmbər] : 합격판정개수
✅ 의미 : 샘플 중 허용 가능한 최대 불량품 수. 이 숫자를 넘지 않으면 전체 로트는 합격으로 판정됨.

37. acceptance region [əkˈseptəns ˈriːdʒən] : 채택영역
✅ 의미 : 통계적 가설검정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않는 값들의 범위. 기각역과 대비되는 개념.

38. acceptance-rejection method [əkˈseptəns rɪˈʤɛkʃən ˈmɛθəd] : 채택기각법
✅ 의미 : 확률분포에서 난수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, 기준 분포에서 추출한 값을 수용하거나 기각함.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서 자주 쓰임.

39. accessible [əkˈsesəbl] : 도달가능한
✅ 의미 : 어떤 상태 또는 점이 유한한 시간이나 단계 안에 도달될 수 있는 경우. 마르코프 연쇄, 위상수학 등에서 사용됨.

40. accessible point [əkˈsesəbl pɔɪnt] : 도달가능한 점
✅ 의미 : 경계나 외부에서 경로를 따라 접근할 수 있는 점. 위상수학, 해석학 등에서 경계 조건 정의 시 사용됨.

41. accessible state [əkˈsesəbl steɪt] : 도달가능한 상태
✅ 의미 : 마르코프 체인이나 유한 상태 기계에서 현재 상태로부터 일정 단계 후 도달할 수 있는 상태.

42. accounting [əˈkaʊntɪŋ] : 회계
✅ 의미 : 재무 정보의 수집, 분석, 보고 과정을 수학적으로 체계화한 분야. 경영과 통계의 접점에서 사용됨.

44. accumulated sum [əˈkjuːmjəleɪtɪd sʌm] : 누계
✅ 의미 : 일정한 순서로 값을 더해가며 누적한 합계. 누적 합계나 누적 그래프 등을 그릴 때 사용됨.

45. accumulation point [əˌkjuːmjəˈleɪʃən pɔɪnt] : 집적점, 쌓인점
✅ 의미 : 주어진 점을 중심으로 한 임의의 작은 주변에 무한히 많은 점이 존재하는 위치. 해석학과 위상수학의 핵심 개념.

46. accuracy [ˈækjərəsi] : 정확도
✅ 의미 : 실제 값과 측정 값 또는 예측 값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도. 수치해석, 통계, 머신러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됨.

47. acquisition of control rule [ˌækwɪˈzɪʃən əv kənˈtroʊl ruːl] : 제어규칙 추출법
✅ 의미 : 시스템 또는 제어 모델에서 적절한 작동 규칙을 도출하는 방법. 제어이론이나 퍼지논리 등에서 사용됨.

48. action [ˈækʃən] : 작용
✅ 의미 : 물리학이나 수학에서 함수나 연산자가 어떤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 방식. 군의 작용, 함수의 작용 등으로 사용됨.

49. action limit [ˈækʃən ˈlɪmɪt] : 작용한계
✅ 의미 : 품질 관리 등에서 공정이 이상 신호를 보이는 경계값. 통계적 공정 관리(SPC)에서 사용됨.

50. action of a group [ˈækʃən əv ə ɡruːp] : 군의 작용
✅ 의미 : 어떤 집합 위에 군이 연산을 정의하여 구조적으로 작용하는 것. 대수학, 위상수학 등에서 중요하게 다뤄짐.

51. actual waiting time [ˈæktʃuəl ˈweɪtɪŋ taɪm] : 실제대기시간
✅ 의미 : 대기행렬 이론이나 시스템 운영에서 실제로 관찰되는 대기 시간. 예측치와 대비하여 성능 평가에 활용됨.

52. actuarial mathematics [ˌæktʃuˈɛəriəl ˌmæθəˈmætɪks] : 보험수학, 보험계리
✅ 의미 : 사망률, 생존률, 사고율 등 확률 개념을 바탕으로 보험료와 리스크를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분야.

53. acute angle [əˈkjuːt ˈæŋɡl] : 예각, 뾰족각
✅ 의미 : 크기가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은 각. 기하학의 기본 분류 중 하나.

54. acute triangle [əˈkjuːt ˈtraɪæŋɡl] : 예각삼각형, 뾰족삼각형
✅ 의미 : 세 각이 모두 예각(90도 미만)인 삼각형. 삼각형의 분류 중 하나.

55. acyclic [eɪˈsaɪklɪk / ˈeɪsɪklɪk] : 비순환(적)
✅ 의미 : 순환이 없는 구조. 예: 그래프 이론에서 사이클이 없는 그래프를 의미하며, 위상 정렬 등이 가능함.

56. acyclic chain complex [eɪˈsaɪklɪk ʧeɪn ˈkɒmpleks] : 비순환 연쇄복합체
✅ 의미 : 호몰로지 군이 0인 체인 복합체.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중요한 구조로, 위상공간의 성질을 반영함.

57. acyclic digraph [eɪˈsaɪklɪk ˈdaɪɡræf] : 비순환 이중그래프
✅ 의미 : 방향성이 있으면서 순환이 존재하지 않는 그래프. DAG(Directed Acyclic Graph)라고도 하며, 알고리즘에서 매우 중요함.

58. acyclic directed graph [eɪˈsaɪklɪk daɪˈrɛktɪd ɡræf] : 비순환 유향그래프
✅ 의미 : 위와 동일하게, 방향성을 가지며 어떠한 경로도 자신으로 되돌아오지 않는 그래프. 작업 순서, 의존성 분석 등에 활용됨.

59. adapted [əˈdæptɪd] : 순응된
✅ 의미 : 특정 조건이나 구조에 맞게 조정된 상태. 확률과정이나 기하학에서 ‘적응된’ 구조로 나타남.

60. adapted distribution [əˈdæptɪd ˌdɪstrɪˈbjuːʃən] : 적응된 분포
✅ 의미 : 확률과정이나 필터링 이론에서, 정보 흐름에 따라 조정되는 확률분포. 시간 변화에 순응하는 분포로 해석됨.

61. adapted frame field [əˈdæptɪd freɪm fiːld] : 순응된 틀장
✅ 의미 : 다양체 위에서 특수한 조건이나 구조에 맞게 정의된 벡터장 집합. 미분기하학에서 자주 다뤄짐.

62. adapted projection of a distribution [əˈdæptɪd prəˈʤɛkʃən əv ə ˌdɪstrɪˈbjuːʃən] : 분포의 적응된 사영
✅ 의미 : 확률과정 또는 미분기하학에서, 주어진 정보 구조에 맞춰 조정된 분포를 특정 방향으로 투영한 것.

63. adapted projection operator [əˈdæptɪd prəˈʤɛkʃən ˈɒpəreɪtər] : 적응된 사영작용소
✅ 의미 : 특정 분포나 함수공간에 대해 주어진 구조에 순응하는 방식으로 사영을 수행하는 연산자.

64. adaptive method [əˈdæptɪv ˈmɛθəd] : 적응법
✅ 의미 : 문제나 환경의 특성에 따라 계산 방식이나 매개변수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방법. 수치해석, 머신러닝 등에서 자주 사용됨.

65. adaptive quadrature [əˈdæptɪv ˈkwɒdrətʃər] : 적응적 구적법
✅ 의미 : 적분 간격을 함수의 변화에 따라 조절하며 수치적분을 수행하는 방법. 오차를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.

66. add [æd] : 더하기, 더하다
✅ 의미 : 두 수 또는 항을 결합하여 합을 구하는 연산. 가장 기본적인 사칙연산 중 하나.

67. addend [ˈædɛnd] : 덧수
✅ 의미 : 덧셈 연산에서 더해지는 수. 예: 3+53+5에서 3과 5가 각각 addend임.

68. addition [əˈdɪʃən] : 덧셈, 가법, 더하기
✅ 의미 : 수나 식을 결합하여 그 합을 구하는 연산. 수학, 대수학, 논리학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됨.

69. addition law of probability [əˈdɪʃən lɔː əv ˌprɒbəˈbɪləti] : 확률의 덧셈법칙
✅ 의미 : 두 사건 A, B의 합집합의 확률은 P(A)+P(B)−P(A∩B)P(A)+P(B)−P(A∩B)로 계산됨. 확률론의 기본 법칙 중 하나.

70. addition theorem [əˈdɪʃən ˈθɪərəm] : 덧셈정리, 가법정리
✅ 의미 : 함수의 덧셈 형태를 다루는 정리. 예: 삼각함수 덧셈정리 sin⁡(a+b)=sin⁡acos⁡b+cos⁡asin⁡bsin(a+b)=sinacosb+cosasinb 등.

71. additional sample [əˈdɪʃənl ˈsæmpl] : 추가자료, 추가표본
✅ 의미 : 통계 분석이나 검증을 위해 기존 데이터 외에 새롭게 수집된 표본. 신뢰도 향상이나 오차 감소를 위해 사용됨.

72. additive [ˈædɪtɪv] : 가법적인, 덧셈의
✅ 의미 : 구조나 함수가 덧셈에 대해 닫혀 있거나, 덧셈 연산을 유지하는 성질을 가진 경우. 예: 가법 함수, 가법 군.

73. additive formula [ˈædɪtɪv ˈfɔːmjələ] : 덧셈공식, 가법공식
✅ 의미 : 덧셈 연산을 통해 두 함수나 수식의 결합을 나타내는 공식. 삼각함수, 로그함수 등에 존재.

74. additive function [ˈædɪtɪv ˈfʌŋkʃən] : 가법함수
✅ 의미 : f(x+y)=f(x)+f(y)f(x+y)=f(x)+f(y) 조건을 만족하는 함수. 선형성의 전제 조건 중 하나이며, 함수해석학에서 중요한 개념.

75. additive functional [ˈædɪtɪv ˈfʌŋkʃənl] : 가법(적) 범함수, 더하기 범함수
✅ 의미 : 두 함수나 값의 합에 대해 그 값을 더한 것과 같은 값을 갖는 범함수. 함수공간에서 선형 연산의 기본 성질을 나타냄.

76. additive group [ˈædɪtɪv ɡruːp] : 덧셈군, 가법군
✅ 의미 : 덧셈 연산에 대해 닫혀 있고, 항등원과 역원을 가지며 결합법칙을 만족하는 대수 구조. 예: 정수의 집합 (Z,+)(Z,+).

77. additive inverse [ˈædɪtɪv ˈɪnvɜːrs] : 덧셈역원, 가법역원
✅ 의미 : 어떤 수 aa에 대해 a+(−a)=0a+(−a)=0을 만족하는 수. 즉, 덧셈에 대한 반대값.

78. additive process [ˈædɪtɪv ˈprəʊsɛs] : 덧셈과정, 가법과정
✅ 의미 : 독립된 증가값의 합으로 표현되는 확률 과정. 예: 포아송 과정이나 브라운 운동이 이에 해당됨.

79. additive set function [ˈædɪtɪv sɛt ˈfʌŋkʃən] : 더하기 집합함수
✅ 의미 : 서로 겹치지 않는 집합들에 대해 그 전체 합집합의 함수값이 각 집합의 함수값의 합과 같음. 측도 이론에서 사용됨.

80. additive system [ˈædɪtɪv ˈsɪstəm] : 덧셈계
✅ 의미 : 기본 연산으로 덧셈을 사용하는 대수 구조나 시스템. 예: 벡터공간, 가법군 등이 포함됨.

81. additivity axiom for probabilities [ˌædɪˈtɪvɪti ˈæksiəm fɔː ˌprɒbəˈbɪlɪtiz] : 확률의 덧셈공리
✅ 의미 : 서로 배타적인 사건 A와 B에 대해 P(A∪B)=P(A)+P(B)P(A∪B)=P(A)+P(B)를 만족하는 확률의 기본 성질.

82. additivity process [ˌædɪˈtɪvɪti ˈprəʊsɛs] : 가법과정
✅ 의미 :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값이 독립적이고 증가적으로 누적되는 확률 과정. 확률론과 통계에서 분석 도구로 사용됨.

83. adequacy theorem [ˈædɪkwəsi ˈθɪərəm] : 타당성 정리
✅ 의미 : 형식 체계에서 논리적으로 유도된 명제가 의미론적으로도 참이라는 것을 보장하는 정리. 수리논리학에서 사용됨.

84. adherent [ədˈhɪərənt / ədˈhɛrənt] : 밀착(된), 붙은
✅ 의미 : 어떤 집합에 매우 가까이 있거나, 경계에 위치한 성질. 위상수학에서 폐포(closure)의 개념과 관련됨.

85. adherent point [ədˈhɪərənt pɔɪnt] : 밀착(된) 점, 붙은 점
✅ 의미 : 임의의 작은 이웃 안에 해당 집합의 점들이 항상 존재하는 점. 집합의 폐포에 포함되는 점으로 해석됨.

86. adiabatic law [ˌædiəˈbætɪk lɔː] : 단열법칙
✅ 의미 : 열의 출입 없이 압력과 부피가 변화할 때의 물리 법칙. 수학적으로는 열역학 방정식의 해석에 적용됨.

87. adjacency matrix [əˈʤeɪsənsi ˈmeɪtrɪks] : 인접행렬
✅ 의미 : 그래프에서 정점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행렬. i행 j열의 값이 1이면 해당 정점들이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.

88. adjacent [əˈʤeɪsənt] : 인접한
✅ 의미 : 서로 바로 옆에 있는 상태. 기하학에서는 변, 각, 꼭짓점 등이 직접 연결되어 있을 때 사용됨.

89. adjacent angle [əˈʤeɪsənt ˈæŋɡl] : 이웃각
✅ 의미 : 공통 변과 공통 꼭짓점을 가지며 서로 겹치지 않는 두 각. 직선이나 평면 위에서 자주 등장하는 구조.

90. adjacent vertex [əˈʤeɪsənt ˈvɜːtɛks] : 인접꼭지점
✅ 의미 : 그래프에서 간선으로 직접 연결된 두 꼭짓점. 정점 간의 연결성을 나타낼 때 중요한 개념.

91. adjoin [əˈʤɔɪn] : 인접하다, 첨가하다
✅ 의미 : 수학적으로는 두 구조를 붙이거나 병합하는 의미로 사용됨. 예: 체에 원소나 다항식을 첨가하여 확장체를 만드는 경우.

92. adjoint [ˈæʤɔɪnt] : 수반된, 딸린
✅ 의미 : 대수학이나 해석학에서 어떤 구조에 ‘짝을 이루는’ 연산 또는 대상. 예: 수반행렬, 수반연산자 등.

93. adjoint action [ˈæʤɔɪnt ˈækʃən] : 수반작용, 딸림작용
✅ 의미 : 군 또는 리 대수에서 원소가 자기 자신 위에 작용하는 구조. 리 대수의 구조 분석에서 핵심 역할.

94. adjoint coaction [ˈæʤɔɪnt koʊˈækʃən] : 수반쌍대작용, 딸림쌍대작용
✅ 의미 : 홉 대수(Hopf algebra) 등에서 등장하는 이중 개념으로, 쌍대 공간에서의 수반작용을 의미함.

95. adjoint corepresentation [ˈæʤɔɪnt ˌkəʊrɛprɪˈzɛnˈteɪʃən] : 수반쌍대표현, 딸림쌍대표현
✅ 의미 : 군, 리 대수 또는 홉 대수의 코표현(co-representation)에 대응하는 수반 구조. 대수적 표현이론에서 다룸.

96. adjoint differential equation [ˈæʤɔɪnt ˌdɪfəˈrɛnʃəl ɪˈkweɪʒən] : 딸림미분방정식, 수반미분방정식
✅ 의미 : 원래의 미분방정식과 관련된 또 다른 방정식으로, 그 해를 통해 원래 문제를 해결하거나 특성을 분석함.

97. adjoint functor [ˈæʤɔɪnt ˈfʌŋktər] : 수반함자, 딸림함자
✅ 의미 : 범주론에서 두 함자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. 범주 간의 구조적 성질을 분석할 때 매우 중요함.

98. adjoint kernel [ˈæʤɔɪnt ˈkɜːrnəl] : 수반핵, 딸림핵
✅ 의미 : 연산자의 수반(adjoint)에 대한 영공간(커널). 함수해석학이나 연산자 이론에서 다룸.

99. adjoint map [ˈæʤɔɪnt mæp] : 수반사상, 딸림사상
✅ 의미 : 선형사상 또는 연산자의 수반 개념. 힐베르트 공간 등에서 내적 구조를 기준으로 정의됨.

100. adjoint matrix [ˈæʤɔɪnt ˈmeɪtrɪks] : 수반행렬, 딸림행렬
✅ 의미 : 어떤 행렬의 여인자행렬의 전치행렬. 역행렬 계산 시 자주 사용되며, 고전 선형대수에서 기본 개념.

101. adjoint operator [ˈæʤɔɪnt ˈɒpəˌreɪtər] : 수반작용소, 딸림작용소, 수반연산자
✅ 의미 : 힐베르트 공간에서 정의된 연산자의 수반으로, 내적 구조를 반영해 정의됨. 스펙트럼 이론에서 중요하게 다뤄짐.

102. adjoint side [ˈæʤɔɪnt saɪd] : 이웃변
✅ 의미 : 다각형에서 같은 꼭짓점을 공유하는 두 변. 삼각형의 각과 관련된 정의에서 자주 등장함.

103. adjoint representation [ˈæʤɔɪnt ˌrɛprɪˈzɛnˈteɪʃən] : 수반표현, 딸림표현
✅ 의미 : 리 대수의 원소가 선형변환으로 리 대수 자체에 작용하는 표현. 대수구조 분석에 사용됨.

104. adjunction [əˈʤʌŋkʃən] : 첨가
✅ 의미 : 집합이나 구조에 새로운 원소나 관계를 덧붙이는 행위. 범주론에서는 수반함자와 연결된 개념으로도 사용됨.

105. admissible [ədˈmɪsəbl] : 허용가능한
✅ 의미 : 수학적 조건이나 제약을 만족하는 값, 함수, 구조 등을 지칭. 최적화, 통계, 논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됨.

106. admissible bundle [ədˈmɪsəbl ˈbʌndl] : 허용다발
✅ 의미 : 특정 조건(예: 정칙성, 평탄성 등)을 만족하는 벡터다발. 복소기하학, 대수기하학에서 등장함.

107. admissible family [ədˈmɪsəbl ˈfæməli] : 허용가능 모임
✅ 의미 :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족. 함수공간, 측도이론 등에서 필터나 베이스로 사용될 수 있음.

108. admissible function [ədˈmɪsəbl ˈfʌŋkʃən] : 허용함수
✅ 의미 : 최적화, 제어이론 등에서 제약 조건을 만족하면서 고려 대상이 되는 함수. 목적함수나 제어변수로 자주 등장함.

109. admissible path [ədˈmɪsəbl pæθ] : 허용가능(한) 경로, 허용할 수 있는 경로
✅ 의미 : 주어진 조건이나 제약을 만족하는 경로. 최적화 문제, 제어이론, 위상수학 등에서 자주 사용됨.

110. admissible sequence [ədˈmɪsəbl ˈsiːkwəns] : 허용가능(한) 수열, 허용할 수 있는 수열
✅ 의미 : 어떤 구조나 공간 내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수열. 수렴성, 수치해석 또는 함수해석학에서 사용됨.

111. admissible subgroup [ədˈmɪsəbl ˈsʌbɡruːp] : 허용부분군
✅ 의미 : 주어진 군이나 작용 내에서 특정 성질을 만족하는 부분군. 군론, 표현이론 등에서 제약된 대상 설정 시 사용됨.

112. admissible topology [ədˈmɪsəbl təˈpɒlədʒi] : 허용가능 위상, 바람직한 위상
✅ 의미 : 함수나 공간의 해석적 성질을 만족하는 위상. 위상수학과 범주론에서 고려되는 조건부 위상 구조.

113. advance estimate [ədˈvɑːns ˈɛstɪmət] : 사전추정값
✅ 의미 : 어떤 현상이나 결과가 나타나기 전에 미리 계산된 예측값. 통계학, 수리계획 등에서 예비 분석에 활용됨.

114. aerial velocity [ˈɛəriəl vəˈlɒsəti] : 공기의 속도, 대기의 속도
✅ 의미 : 공기 또는 대기 중에서의 속도. 유체역학, 기상수학 등에서 물체와 공기 사이의 상대속도를 분석할 때 사용됨.

115. affine [ˈæfaɪn / əˈfaɪn] : 아핀
✅ 의미 : 직선성은 유지하지만, 원점이나 길이·각도 등은 유지하지 않는 변환의 성질. 아핀 기하학, 아핀 공간 등에서 핵심 개념.

116. affine algebra [ˈæfaɪn ˈælʤɪbrə] : 아핀대수
✅ 의미 : 유한 개의 생성자를 가지는 대수로, 아핀 다양체와 관련된 대수 구조. 대수기하학의 중심 대상.

117. affine automorphism [ˈæfaɪn ˌɔːtəˈmɔːfɪzəm] : 아핀자기동형사상
✅ 의미 : 아핀공간에서 아핀 구조를 보존하면서 자기 자신으로 대응시키는 사상. 대칭성과 변환 이론에 활용됨.

118. affine chain [ˈæfaɪn ʧeɪn] : 아핀사슬, 아핀연쇄
✅ 의미 : 아핀 공간 내에서의 연속적인 선형적 연관 구조. 대수적 위상수학 또는 체인 복합체 이론에서 사용됨.

119. affine completeness [ˈæfaɪn kəmˈpliːtnəs] : 아핀완비성
✅ 의미 : 아핀공간이 특정 조건 하에서 닫혀 있음을 나타내는 성질. 논리학, 대수학에서 아핀 구조의 포괄성을 설명할 때 사용됨.

120. affine conic [ˈæfaɪn ˈkɒnɪk] : 아핀원추곡선
✅ 의미 : 아핀기하학에서 정의된 2차 곡선. 원뿔곡선(포물선, 쌍곡선, 타원)을 아핀공간 내에서 해석한 형태.


영어, 이제 더이상 굳이 시간 내서, 비싼 돈 들여 배우지 마세요.
잠금화면 켤 때마다 틈틈이 자동으로 보고 익히면 끝!
똑똑하게 배우는 워드빗 영어, 무료로 다운로드하세요. 😊

🔼 출처 : 대한수학회

🔼 워드빗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? 여기에서 확인하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