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actically 뜻 거의와 실제로의 차이

practically 뜻과 뉘앙스 비교

“Practically”는 ‘실제로’? ‘거의’? 헷갈리셨죠? 🤔

“I’m practically done.”
“Practically speaking, we need more time.”
이런 문장에서 practically는 같은 뜻일까요?

이번 콘텐츠에서는 practically의 두 가지 주요 의미‘거의’와 ‘실제로’—를 명확히 구분하고,
각각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쓰이는지를 예문과 함께 정리해드립니다. ✍️

1. 의미 ① 거의 = almost 🟨

“Practically”는 매우 자주 ‘거의’라는 의미로 쓰입니다. 이때는 실제로는 아니지만 거의 가까운 상태를 나타냅니다.

  • I’m practically finished.
    (거의 다 끝났어)
  • The room was practically empty.
    (방은 사실상 텅 비어 있었어)
  • He’s practically family.
    (그는 거의 가족이나 다름없어)

2. 의미 ② 실제적으로, 현실적으로 = in a practical way 🔧

또 다른 의미는 ‘실제로’, ‘현실적으로’, ‘실용적으로’입니다.
이론이 아닌 실제 상황이나 행동 기준에서 말할 때 자주 사용되며, “practically speaking”이라는 표현이 대표적입니다.

  • Practically speaking, we can’t afford it.
    (현실적으로는 그걸 살 여유가 없어)
  • That solution isn’t practically possible.
    (그 해결책은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해)
  • She’s practically managing the team already.
    (실질적으로는 이미 팀을 관리하고 있어)

3. 구분 포인트 한눈에 보기 🔍

설명 예문
거의 (almost) 실제로는 아니지만 거의 다 된 상태 He’s practically shouting.
실제로 (in a practical way) 현실적인 기준에서의 판단 Practically speaking, it won’t work.

문맥과 함께 쓰는 표현(예: practically empty vs practically speaking)을 기준으로 구분하면 훨씬 쉽습니다.

Practically, 영어 실력은 뉘앙스에서 차이가 납니다 💡

“Practically”는 단순히 뜻만 외우면 혼동하기 쉬운 단어입니다.
문장 안에서의 역할과 말하는 사람의 의도를 이해해야 정확하게 구사할 수 있죠.

이런 뉘앙스를 감각적으로 익히고 싶다면?
반복 노출 기반의 워드빗이 답입니다. 📱

  • 🔐 잠금화면에서 단어와 문장을 자동 노출
  • 🎯 실전 회화에 자주 쓰이는 뉘앙스 단어 집중 제공
  • 🧠 개인 목표와 수준에 맞춘 복습 시스템
  • 🎮 게임처럼 즐기는 반복 학습

말 그대로, 지금부터 시작해보세요 👉
워드빗 앱 다운로드하기